반응형

기획서 쓰는 방법 - 포착, 전개, 정리

기획서의 구성은 '기승전결' 이 아니라 '포착 · 전개 · 정리' 로 하는 것이 요즘 시대에 부합된다는 사실을 앞에서 설명했다.

그렇다면, 기획서의 이러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포착' 하는 부분

- 표지 머리말 목차

등이 이 부분에 해당된다.
'포착' 하는 것이 이 부분이 역할이므로,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서 요구되는 것은, ‘시선을 붙잡는 표지' '읽고 싶어지는 타이틀 이 기획에 대한 태도’ ‘시선을 붙잡는 배경과 과제 제시' 등이다. 목차도 '포착' 단계에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전개' 하는 부분

기획의 가장 중요한 내용이 이 부분에 들어간다. 그럼, 어떤 내용들이 들어가야 할까?

- 기획의 전체적인 모습

과제 해결 방법

· 기획의 개요.

- 구체적인 내용

구체적인 계획

기획을 실행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것이 이 단계의 목적이다. 이 전개 부분을 다시 3부분(포착 · 전개 · 정리)으로 나누어 구성한다면 더욱 효과적이다.

■ '전개의 '포착' 부분

우선, 가장 먼저 결론을 얘기해주어야 한다. 이 기획의 목적, 어떤 것을 지향하는지, 어떤 과제를 해결하는 것인지, 요컨대 이 기획을 실시함으로써 어떠한 메리트가 있는지에 대해 처음에 먼저 설명한다.중요한 것은, 이 기획서 중에서 전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내용을먼저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장 먼저 전하고자 하는내용만을 중심명제로 제시한다.

그런 다음의 기획서 흐름은, 이 중심명제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항목과 자료를 첨부하여 전개해나가는 것이다.

이는 기획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머릿속에 넣어준다는 개념이 다. 히트곡 가운데에도 갑시기 하이라이트 부분부터 시작되는 노래들이 있다. 헐리우드 영화들도 최근에는 이 '하이라이트 부분부터 기작되는 기법이 도입되는 작품이 많다. 이때 상대방의 마음을 화 회어잡아야 한다. 당신의 기획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내가 자주 쓰는 방법으로, 기획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컨셉 맵 이라는 기법이 있다.

'컨셉 맵' 이란 전체적인 기획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 컨셉 맵을 보면 이 기획이 어떤 기획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수족관에 대한 기획서를 만든다고 하자. '컨셉 맵은 관람객이 체험하는 내용을 도식화해나간다.

입구에서 시작하여, 어떤 테마의 전시를 보고, 어디서 식사를 하며, 어디서 쇼핑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흐름을 보기 쉽게 나타내는것이다.

이 맵을 보면, 전체를 한 눈에 알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컨셉 맵이다.

■ 전개의 전개 부분

이 부분에서는 '전개' 의 '포착' 에서 다룬 가장 전하고 싶은 내용을여러 요소를 첨가하여 설명해나간다. 상세한 설명이 되기도 하고 전개식의 설명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컨셉 맵으로 수족관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경우,여기서는 각 전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시계획에 대한 스케치나 뮤지엄 숍(수족관의 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사진 등을 넣는다.
기획서 가운데 가장 상세하게 쓰는 부분이다.

■ '전개' 의 '정리' 부분

마지막으로, 기획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거나 메인 기획을 보강하는 기획 등을 포함시켜 나간다. 이는 기획을 응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기획을 '애플리케이션(응용) 기획' 이라고 부른다.

수족관의 경우로 말한다면, '수족관을 운영하기 위해 자원봉사 조직을 만든다 거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집객 시스템을 강화한다' 등을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관련된 기획을 통해 수족관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드는 응용편이다.

'정리' 하는 부분

- 다시 한 번, 이 기획을 실시함으로써 어떻게 되는지, 또는 이 기획이실현 가능하다는 사실 등 당신이 의도하는 결론으로 유도해 나간다.

또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취해주길 바라는지에 대해 설명해주어야할 때이기도 한다.

설득력이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도있다. 기본적으로 그런 자료는 자료편 으로서 이 부분에 넣는 경우가 많다. 예산이나 스케줄, 스텝 소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자료가 많은 경우나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획서와는 다른 자료를 만들어 '별도 첨부 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 그것은 기획서를 제출하는 상대와 기획 내용에 따라 임기응변적으로 바꾸어나간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